임플란트 치료가 보편화된 만큼 그에 따른 합병증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임플란트 염증이 뭐고 어떤 증상이 있을까?치주염이 있던 사람은 임플란트 염증이 잘 생길까?흡연을 하면 임플란트 염증이 잘 생길까?당뇨, 고혈압이 있으면 임플란트 염증이 잘 생길까?어떤 치약을 써야 임플란트 염증 관리에 좋을까?워터픽을 쓰면 임플란트 염증을 줄일 수 있을까?...
아래 삽입된 그림들은 제가 직접 그린 것과 EMS Dental Korea에서 발췌한 그림입니다.
EMS Dental Korea에 감사드립니다.
서울비디치과 불당본점은 EMS 선정 GBT 인증 치과입니다.
임플란트의 구성 요소와 건강한 치은열구
조금 어려운 내용일 수 있지만 임플란트 염증을 이해하려면 임플란트 주변 조직에 대해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최대한 쉽게 그림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EMS Korea
왼쪽 그림은 임플란트 구조물들을 완전히 체결하기 전 상태입니다.
그림을 보면 임플란트가 세 가지 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른쪽 그림은 각 파트를 완전히 체결했을 때 모습입니다.
임플란트는 세 가지 파트로 구성됩니다.
임플란트 픽스처 어버트먼트임플란트 크라운
정상적인 상태에서 임플란트 픽스처는 잇몸뼈에 완전히 잠겨있는 구조물입니다.
그 위쪽으로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 크라운이 체결되고 주변 잇몸과 닿게 됩니다.
이때 임플란트와 잇몸 사이에 포켓 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치은열구라고 부릅니다.
임플란트 크라운, 어버트먼트를 제거했을 때 잇몸 모습을 한번 보겠습니다.
가운데 임플란트 픽스처가 보입니다.
그 주변으로 검붉게 보이는 부분이 치은열구 부분입니다.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 크라운이 잇몸과 닿는 부분입니다.
임플란트 염증의 핵심은 이 치은열구 부분입니다.
여기에 플라크, 바이오필름이 쌓이면서 염증이 시작됩니다.
예전에 치은열구를 세척하는 것이 잇몸 건강의 핵심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
치실을 사용하는 목적도 치은열구를 청소하기 위함입니다.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
peri-implant mucositis
아래 그림과 같이 치은열구에 바이오필름, 플라크가 형성되면서 임플란트 초기 염증이 시작됩니다.
EMS Korea
이를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이라고 부릅니다.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
peri-implant mucositis
최근 메타분석 논문에 따르면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의 유병률은 43 %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10명 중에 4명은 초기 염증이 생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플란트 주변 잇몸이 붓는다.양치할 때 피가 난다.입 냄새가 난다.잇몸이 간질간질하다.혀가 자꾸 간다.음식물이 낀 느낌이 계속 든다.
EMS Korea
임플란트 초기 염증인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 증상이 관찰되면 초기에 적절하게 치료해야 합니다.
그 후 3개월 주기로 관찰을 하면서 염증이 재발되지 않는지 경과를 관찰해야 합니다.
꾸준히 관리하면 다시 정상적인 잇몸 상태로 돌아갑니다.
임플란트 주위염
peri-implantitis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이 생겼을 때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의 염증으로 발전합니다.
이를 임플란트 주위염이라고 부릅니다.
임플란트 주위염
peri-implantitis
임플란트 주위염은 치은열구에 만성 염증이 생긴 상태로 치주낭이 형성되었다고 부릅니다.
만성 염증은 잇몸뼈에도 염증을 일으키고 잇몸뼈를 녹게 만듭니다.
EMS Korea
메타분석 논문에 따르면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은 22 %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주위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혀로 건드리면 피가 난다.자주 붓고 때로는 통증이 심하다.임플란트 나사가 보인다.농, 고름이 나올 때도 있다.입 냄새가 심하게 난다.심한 경우 임플란트가 흔들린다.
EMS Korea
임플란트 주위염이 심한 경우 임플란트를 빼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계속 두면 잇몸뼈가 녹아내리고 임플란트 재수술이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한번 임플란트 주위염이 생기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갈 수는 없습니다.
녹았던 잇몸뼈가 다시 재생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최선은 염증의 진행을 늦추는 것뿐입니다.
이를 위해 저번 글에서 설명드린 <EMS사의 에어플로우
프로필락시스 마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주 효과적입니다.
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 3개월 주기로 엑스레이를 찍고 철저하게 유지관리를 해야 합니다.
<참고 문헌>
EMS Korea 영상 : https://tv.naver.com/v/18554694Derk J, Tomasi C. Peri-implant health and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epidemiology. J Clin Periodontol. 2015;42(suppl16):S158-S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