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가 빠진 채로 그냥 지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사실 치아 한두 개 빠지는 것은 의외로 적응할 만합니다.
오른쪽이 빠지면 왼쪽으로 씹으면 되고,
왼쪽으로 빠지면 오른쪽으로 씹으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두시면 안 됩니다.
큰일이 나는데 빨리 큰일이 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서서히 큰일이 일어납니다.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같이 한번 살펴보시죠.
1. 남은 치아들이 무리를 하게 되고 결국 탈이 난다.
이건 아주 간단합니다.
치아는 사랑니 제외 28개입니다.
28개의 치아가 각자의 위치에서 맡은 역할을 잘 할 때,
무리 없이 씹어 먹는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2개 정도가 빠졌다고 생각해 보죠.
원래 28개의 치아가 하던 일을 26개의 치아가 담당해야 합니다.
특히 바로 옆에 있는 치아들은 죽어나겠죠.
이렇게 다른 치아들에 무리가 가해지다 보면 다른 치아들에게도 탈이 나게 됩니다.
오른쪽 치아를 치료하는 동안 오른쪽으로 식사를 못하셔서,
왼쪽으로 씹다 보니 왼쪽이 아파요.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럼 저는 간단하게 말씀드립니다.
'양쪽으로 잘 씹어야지 무리가 안되는 한쪽으로만 드시니 무리가 돼서 그렇습니다.
치료 다 마치고 양쪽으로 씹으면 괜찮아지실 겁니다.'
그런데 치료를 해서 양쪽으로 씹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한쪽이 빠져서 계속 반대쪽으로 씹어야 하는 경우라면?
그쪽이 탈이 나지 않는 것이 이상한 것이겠죠.
2. 남은 치아들의 위치가 이동해서 교합이 틀어진다.
치아는 뼛속에 박혀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하게는 뼈 위에 떠있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치아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뼈 안에서도 휘적 휘적 돌아다닐 수 있습니다.
(이런 원리를 이용한 치료가 치아 교정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건강한 치열에서 치아들이 제 자리에 있을 수 있는 이유는
다른 치아들과 서로 위치를 잡아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치아가 빠지게 된다면,
그 옆 치아, 그 위 치아 등이 빠진 자리로 움직이게 됩니다.
하나가 움직이면 또 빈자리가 생기겠죠.
그럼 또 그 옆 치아가 움직이겠죠.
치열이, 교합이 완전히 틀어져 버리게 됩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치아가 기울어져 버린 것이 보이시나요?
받혀주는 친구가 없으면 치아는 쓰러집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치아가 내려와 버린 것이 보이시나요?
같이 씹히는 치아가 없으니 아래로 추락합니다.
이렇게 된다면 치열이 안 좋아지고 교합이 안 좋아지니,
씹는 것이 힘들어지고 결국 다른 치아들에도 더욱 무리가 가게 됩니다.
심하면 턱관절과 근육에도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치료를 시작하게 되면,
단지 빈자리에 임플란트를 심는 것 뿐만 아니라
제자리에서 벗어난 치아들을 원래 자리로 돌려주는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교정 치료가 될 수도 있고, 보철 치료가 될 수도 있고, 발치 후 임플란트가 필요할 수도 있겠죠.)
즉, 치료가 복잡해지게 됩니다.
복잡한 치료는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고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하게 합니다.
참 무섭죠.
3. 치아가 빠진 자리의 뼈들이 약해진다.
근육도 계속 쓰면 커지고 안 쓰면 작아집니다.
사실 뼈를 똑같다고 말하긴 그렇지만,
잇몸뼈도 자신의 부피를 유지하기 위해선 적절한 자극이 필요합니다.
치아가 빠진 채로 방치된다면 해당 부위의 뼈는 할 일이 없어집니다.
치아를 잡아주는 역할을 해야 하는 뼈가 치아를 잡아주지 못하니까요.
그렇게 점점 뼈가 얇아지고 약해지게 됩니다.
그래서 뼈가 얇아지고 약해지면 무엇이 문제가 될까요?
바로 치료를 하고자 할 때 큰 방해가 됩니다.
이런 식으로 멀쩡한 임플란트 하나 다 품을 수 없을 만큼 얇아지게 됩니다.
노란 부분이 남아있는 뼈입니다.
뼈가 임플란트를 심기에 너무 얇아져서 추가적인 뼈이식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게 됩니다.
뼈가 너무 얇아지다 보면 임플란트 식립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남아있는 뼈가 많다면 간단했을 치료가,
남은 뼈가 적다는 이유로 어려워지고 불가능해지기도 합니다.
치아가 빠진 자리 방치하면 안 되는 이유,
조금은 가슴에 와닿으셨길 바랍니다.
저희 치과가 아니어도 됩니다.
빠진 치아가 있다면 꼭 한번 용기 내셔서 가까운 치과에서 검진받고 치료 계획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